중산층 점점 줄고…소득 불평등 심화

중산층 점점 줄고…소득 불평등 심화

입력 2010-03-17 00:00
업데이트 2010-03-17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비중 66.7%… 6년만에 3.4%P↓

우리 사회의 버팀목인 중산층이 점점 줄고 있다. 소득 불평등 정도도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확대
1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인가구와 농어가를 제외한 전 가구 가운데 중산층이 차지하는 비중(가처분소득 기준)은 66.7%로 집계됐다. 2008년(66.2%)보다 조금 늘었지만 2003년(70.1%)과 비교하면 3.4%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기간 빈곤층은 11.6%에서 13.1%로 늘어났고, 상류층은 18.3%에서 20.2%로 늘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전체 근로자를 소득 순으로 줄을 세웠을 때 정중앙에 있는 사람의 소득인 중위(中位)소득을 기준으로 50% 미만을 빈곤층, 50~150%는 중산층, 150% 이상을 상류층으로 분류하고 있다.

2003년 이전으로 시야를 넓히면 중산층의 붕괴가 빈곤층의 증가로 이어졌음을 알 수 있다. 지난해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인 이상 도시가구를 조사한 결과, 1982년 66.7%였던 중산층은 1992년 75.2%로 정점을 기록했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66.8%로 떨어지고 2008년에는 63.3%까지 하락했다. 1992년과 비교하면 11.9%포인트나 떨어졌다. 같은 기간 빈곤층은 7.7%에서 14.3%로 올라간 반면, 상류층은 17.1%에서 22.4%로 5.3%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쳤다.

중산층의 기반 약화는 소득분배 불평등 지표도 악화시키고 있다. 통계청의 전 가구 지니계수는 2003년 0.277에서 2009년 0.293으로 올라갔다. 지니계수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갖는데,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 정도가 높다는 뜻이다. 하위 20% 소득 대비 상위 20% 소득의 비율인 5분위 배율은 2003년 4.44배에서 2009년 4.92배로 높아졌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0-03-17 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