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퍼 실적·온정·나눠먹기 관행 깬다

페이퍼 실적·온정·나눠먹기 관행 깬다

입력 2010-03-09 00:00
업데이트 2010-03-09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 R&D전략 대수술 배경

8일 내놓은 지식경제부의 ‘연구개발(R&D) 혁신 전략’은 크게 ‘밑빠진 독에 물 붓기’로 불리던 정부의 R&D 지원 체계를 뜯어고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미지 확대


●관리·감시·평가 민간에 위임

이를 위해 지경부의 R&D 연간 예산 4조 4000억원(2009년)을 ‘돈 되는’ 사업에 집중 투자하고, 이에 대한 관리·감시·평가는 민간에 맡긴다는 계획이다. 그동안 ‘페이퍼 실적’과 ‘온정주의’, ‘나눠먹기’ 방식에 치우친 R&D 관행을 바꿔 2020년 국민소득 4만달러를 이끌 수 있도록 ‘경제 틀’을 전면 개편하겠다는 의미다. 최경환 지경부 장관은 기존 R&D 지원 체계를 ‘깨진 독’으로 규정하면서 “이를 수리하는 차원이 아니라 새로운 독을 만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리나라의 R&D 투자는 2000년대부터 연평균 10.6% 증가했지만 R&D의 질적인 성과는 갈수록 퇴보하고 있다.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 1위 품목 수는 2000년 87개에서 2007년 53개로 크게 줄었다. 반면 중국은 698개에서 1128개로 갑절 가까이 늘었다. 또 대형 성장동력도 2001년 액정표시장치(LCD) 이후 나타나지 않고 있다. 1980년대 반도체 D램, 1990년대 코드분할다중접속(CDMA)으로 이어지던 ‘먹거리 계보’가 사실상 끊긴 것이다.

●성과 따른 파격인센티브 제공

R&D 혁신전략의 용역을 맡은 ‘베인&컴퍼니’는 이같은 이유로 민간 핵심전문가의 참여 부족과 책임 분산 등을 꼽았다. 추진 과정에서 전략 기획이 미흡하고 경쟁 부재, 온정주의 만연 등도 기술개발의 질을 떨어뜨리는 주범이라고 진단했다. 실제로 R&D 기획 예산 비중은 0.8%에 불과했으며, 2004~2008년 평가대상 과제 4041건 가운데 2.1%(83건)만이 실패 판정을 받을 정도로 온정주의 평가가 대세였다. 최 장관은 “성과보다 좋은 게 좋다는 식으로 나눠 먹은 사례도 많았고, 한번 결정되면 경쟁이 없어 성과와는 거리가 먼 R&D 지원 구조였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같은 사태를 막기 위해 R&D 기획 예산을 중장기적으로 5%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며, 올해부터 R&D 중간 탈락 비율을 10%까지 확대해 반드시 성과물을 내놓을 수 있는 구조로 바꿔놓겠다.”고 강조했다.

성과에 따른 인센티브도 파격적이다. 최상위 5% 과제 수행자에게는 후속 과제가 우선 지원되고, 과제를 조기에 성공하면 예산절감액의 일부를 인센티브로 제공한다. 또 세계적인 연구성과를 창출한 기술자에게는 국가 유공자에 준하는 예우를 해줄 계획이다. 지경부는 올 상반기까지 R&D 사업구조 개편과 중간탈락 확대, 경쟁 체제 도입 등의 행정 조치를 완료하기로 했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10-03-09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