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북도청.
충북도보건환경연구원은 모기 감시 사업을 진행한다고 11일 밝혔다.
기후변화로 인한 모기 매개 감염병 확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는 청주시 4개 보건소와 협력해 이달부터 오는 10월까지 모기 민원 다발 지역 4곳에 일일모기발생감시장비(DMS, Daily digital Mosquito Monitoring System)를 설치할 예정이다. DMS란 이산화탄소를 방출해 모기를 채집한 후 그 수량을 디지털로 계량화해 실시간으로 모기 밀도를 감시하는 장비다.
연구원은 매주 DMS를 통해 채집된 모기 관련 정보를 청주시 4개 보건소와 공유할 예정이다. 월 1회 연구원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모기 발생 동향 정보를 공개할 방침이다.
이 사업을 처음 시작한 2023년에는 청주시 4개 DMS에서 2만 4534개체의 모기가 채집됐다. 2024년에는 3만 752개체가 채집돼 전년보다 25.3%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 채집 비율이 2023년에는 전체 채집 모기 중 0.2%(62개체)에 불과했으나 2024년에는 5.35%(1647개체)로 급증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