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절 짓다가 유서까지 썼다… 목숨 걸고 완공한 인도 분황사

절 짓다가 유서까지 썼다… 목숨 걸고 완공한 인도 분황사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2-05-20 18:19
업데이트 2022-05-20 18: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철수씨가 20일 인도 비하르주 부다가야 분황사 앞에서 준공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부다가야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박철수씨가 20일 인도 비하르주 부다가야 분황사 앞에서 준공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부다가야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15㎏이나 빠졌어요. 어지럽고 힘들어서 죽을 수도 있겠다 싶어 유서까지 써놨습니다.”

박철수(67)씨에게 지난 1년 반은 절을 짓느라 사투를 벌인 시간이었다. 코로나19의 거센 위협과 살인적인 인도의 폭염 속에 그의 목숨도 휘청거렸다. 여러 가지 장애를 극복하고 마지막 공포(사찰의 기둥머리에 설치해 상부 지붕의 하중을 받도록 설치한 구조물)가 무사히 올라가는 모습을 봤을 땐 눈물이 흐르기도 했다.

박씨는 대한불교 조계종이 붓다가 깨달음을 얻은 인도 비하르주 부다가야에 건립한 한국식 전통 사찰 ‘분황사’ 건축을 총괄했다. 준공식을 하루 앞둔 20일 현지에서 만난 그는 “부처님 집을 지어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했다”고 말했다.

지금은 웃으며 말할 수 있지만 인도 분황사는 그의 목숨을 건 작품이다. 코로나19가 한창인 2020년 10월에 현지에 온 박씨는 인도의 열악한 기술력과 살인적인 더위 그리고 무엇보다 코로나19의 위협 속에 준공기일을 맞추고자 수많은 밤을 잠도 제대로 못 이룬 채 보냈다.
준공식을 하루 앞운 20일 인도 분황사 모습. 멀리 왼쪽으로 붓다가 깨달음을 얻은 장소를 기념해 세운 마하보디 대탑이 보인다. 부다가야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준공식을 하루 앞운 20일 인도 분황사 모습. 멀리 왼쪽으로 붓다가 깨달음을 얻은 장소를 기념해 세운 마하보디 대탑이 보인다. 부다가야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다른 분야 종사자도 마찬가지지만 코로나19는 그의 작업에 큰 장애가 됐다. 박씨는 “코로나가 무서웠다. 작년에 여기에서 25명이 확진됐다”면서 “한국 사람들도 안 와서 전혀 모르는 인도 사람들을 데리고 일했다”고 돌이켰다. 이날도 최고 기온 44도를 기록한 현지 기온은 한창 더울 때는 49도까지 치솟아 현지인도 쓰러질 정도였다.

코로나19와 날씨처럼 불가피한 요소도 힘들었지만, 연약한 지반에 콘크리트로 한국 전통사찰을 짓는 스트레스는 그를 가장 괴롭히는 요소였다. 한국 사찰은 대개 목조 건축물이지만, 덥고 습하고 벌레까지 드센 인도는 목조 건축물이 버틸 수 없는 환경이었다. 이런 여건 때문에 분황사는 전부 콘크리트로 지어졌다.

박씨는 “밑에 물이 흐르는 탓에 잠항공법(콘크리트 상자를 만들어 가라앉혀 건축물의 기초로 삼는 공법)을 활용했다”고 설명했다. 콘크리트로 짓는 탓에 어긋나지 않게 한 번에 딱 맞게 지어야 해서 밤마다 수도 없이 계산하며 혹시 틀릴까 노심초사하는 날도 많았다. 이 와중에 코로나19에 확진된 것 같은 증상도 나타나 진지한 마음으로 유서까지 썼다.
분황사 단청은 나무 같지만 전부 콘크리트다. 부다가야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분황사 단청은 나무 같지만 전부 콘크리트다. 부다가야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건설회사를 운영한 그는 한옥 건축 이력만 20년에 달하는 베테랑이다. 콘크리트 건물로 아파트 등을 지은 경험, 목조 건축물인 한옥을 지은 경험이 있었기 콘크리트로 한옥을 지을 수 있었다. 박씨는 “여기보다 어려운 곳도 해봤는데 못 하겠느냐는 심정으로 했다”고 말했다.

한옥은 직선과 곡선이 만나 만드는 ‘선의 미학’을 가진 건축물이다. 박씨가 가장 자부심을 갖는 부분은 지붕의 곡선미였다.

그는 “학의 날개가 어깨보다 올라갔을 때 아름다운 모습으로 비상한다고 한다”면서 “정면에서 볼 때 학이 날아가는 모습이 형성되게 처마가 비상하도록 만들었다”고 자랑했다. 처마가 조금 더 올라가거나 더 처져 아쉬움이 남는 일 없도록 딱 알맞게 만들었다고 설명하는 그의 눈빛에서 남다른 자부심이 엿보였다.
인도 분황사의 지붕 곡선. 부다가야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인도 분황사의 지붕 곡선. 부다가야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복잡한 계산이 하나도 틀리지 않고 딱 맞은 것도,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누구 하나 다치지 않고 무사히 완공한 것도 그가 감사히 여기는 부분이다. 박씨는 “여러 사부대중이 와서 수행처로 삼는다고 하니 성취감을 느낀다. 수행에 큰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활짝 웃었다.
부다가야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