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佛효자 스님의 ‘캠핑카 사모곡’

佛효자 스님의 ‘캠핑카 사모곡’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22-01-25 20:50
업데이트 2022-01-26 02: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마가 스님의 특별한 모친 봉양

출가 40년 만에 속가에 병문안
“손수 지어 주셨던 밥에 목 메어
부모가 곧 부처고 관세음보살”
함께 절 30곳 여행한 영화 제작

이미지 확대
사찰에서 노모를 봉양하는 스님의 모습은 매우 이례적이지만 마가 스님은 “어머니와 함께하며 비로소 진정한 깨달음을 실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3년 가까이 전국 30여개 사찰을 다닌 모자의 여정은 오는 5월 8일 개봉하는 다큐멘터리 영화 ‘불(佛)효자’(사진)에 담겨 깊은 감동을 전할 예정이다. 부디 스튜디오 제공
사찰에서 노모를 봉양하는 스님의 모습은 매우 이례적이지만 마가 스님은 “어머니와 함께하며 비로소 진정한 깨달음을 실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3년 가까이 전국 30여개 사찰을 다닌 모자의 여정은 오는 5월 8일 개봉하는 다큐멘터리 영화 ‘불(佛)효자’(사진)에 담겨 깊은 감동을 전할 예정이다.
부디 스튜디오 제공
“어릴 때 아들한테 이 아이스크림 하나만 사 주지 그랬어요.”

예순을 훌쩍 넘긴 아들의 투정에 노모는 피식 웃음을 보였다. 그리고 아들이 건넨 아이스크림을 천천히 물었다. 아들인 마가 스님이 서울 성북구 현성정사에서 어머니 박종순(92)씨와 함께 지낸 지도 3년이 지났다. 속가와의 인연이 금기인 스님이 어머니를 봉양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지만 마가 스님은 어머니와 함께 생활하고 전국 사찰여행을 다니며 못다 푼 한을 나누고 정을 쌓고 있다. 20세에 출가한 마가 스님은 어머니가 몸이 좋지 않다는 소식에 약 40년 만에 속가와의 인연을 되살렸다.

최근 현성정사에서 서울신문과 만난 스님은 “어머니가 아프신 몸을 이끌고 밥을 지어 주시는데 목이 메여 먹을 수가 없었다. 어머니가 돌아가시기 전에 이제 내가 밥을 좀 해 드리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떠올렸다. “어머니가 아니라 내 마음의 응어리를 풀기 위해서”였다는 고백도 덧붙였다.

스님에겐 부모와 얽힌 깊은 한이 있었다. 외도로 집을 나간 아버지와 네 형제를 홀로 키운 어머니를 오가며 보낸 유년시절은 외로움과 방황의 연속이었다. 스무 살에 세상과 이별하기 위해 찾아간 월정사에서 수면제를 털어넣었고, 사흘 만에 깨어나 출가 수행자가 됐다. 그렇게 헤어진 어머니를 두고 스님은 “껍데기는 40년 만에 만났지만 내면은 어머니와 늘 연결돼 있었음을 느꼈다”고 했다.

돌아가시기 전 어머니 친정을 같이 다녀 보자며 전남 고흥을 둘러본 여행이 전국 30여개 사찰로 이어졌다. 2019년 가을부터 본격적으로 여행에 나섰고 세계문화유산 7대 사찰인 마곡사, 법주사, 부석사, 봉정사, 선암사, 대흥사, 통도사를 비롯해 조계사, 용주사, 월정사, 수덕사, 불국사, 해인사 등을 어머니와 거닐며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눴다. ‘미안해요, 고마워요, 사랑해요’의 뜻을 담은 법당 ‘미고사’ 캠핑카를 만들어 밥을 지어 먹고 휴식을 하며 여행이 계속됐다. 과거 상처는 치유되고 현재가 더욱 소중해졌다. 아름다운 전경과 따뜻한 모자의 모습은 오는 5월 8일 어버이날 개봉할 다큐멘터리 ‘불(佛)효자’(감독 최진규)로 볼 수 있다.

마가 스님은 “효를 강조하신 부처님 말씀과 경전 내용을 오랫동안 불자들에게 전했지만 이전엔 머리로만 이해했던 것 같다”면서 “어머니를 모시며 직접 행동을 하는 게 저와 불자들 모두에게 훨씬 큰 가르침이 됐다”고 말했다. “‘만행의 근본이 효’라는 말처럼 어머니를 모시기로 하니 내 삶도 훨씬 자비로워졌다. 낳아 주신 어머니가 나를 더욱 성숙하게도 해 주셨다”며 “사회의 많은 문제들이 가정에서 비롯되고 결국 가정에서 해법을 찾아야 하는데 많은 사람들이 밖에서 답을 얻으려 한다”고도 했다. “부모가 곧 부처이자 관세음보살이라는 마음으로 효를 다해야 한다”는 것이다.

갈수록 침대에 누워 있는 시간이 많아지는 어머니지만 스님은 “여행은 계속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힘들다 하면서도 새벽같이 일어나 옷을 챙기는 어머니와 아들은 아직 가야 할 곳도, 할 이야기도 많다.
허백윤 기자
2022-01-26 23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