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집콕하다 쌓았네…읽은 책, 읽을 책

집콕하다 쌓았네…읽은 책, 읽을 책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1-09-27 22:08
업데이트 2021-09-28 01: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로나 팬데믹이 바꾼 ‘독서 문화’

도서관 방문자수 65.9% 감소했지만
하루 대출 권수는 전년보다 38% 늘어

국민 71.2% “코로나 후 읽는 시간 증가”
실용서 선호 90.1%… 문학 인기 떨어져
이미지 확대
코로나19로 지난해 도서관 방문자가 대폭 줄었지만, 1일 평균 대출량은 오히려 증가했다. 집에 있는 시간이 늘면서 독서에 투자하는 시간도 증가하는 등 독서 문화도 변화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도서관협회가 27일 발표한 ‘2021년 전국 공공도서관 통계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도서관 한 곳당 방문자 수는 7만 6431명으로 이전 조사(2019년·25만 804명)보다 65.9%나 떨어졌지만, 일일 평균 대출 권수는 62만 9553권으로 38% 증가했다.

지난해 전국 공공도서관은 1172개관으로 전년 대비 38개관 증가했다. 코로나19로 휴관이 이어지면서 1관당 연간 개관일은 2019년 294일에서 2020년 187일로 36.4% 감소했다. 반면 택배·우편 대출 등 비대면 서비스가 늘면서 대출량은 오히려 증가했다.
이미지 확대
대표적 비대면 서비스인 무인대출서비스(스마트도서관) 이용은 124만 1923건으로 전년 대비 62.6%나 뛰었다. 무인대출서비스는 주민들이 지하철역 등 공공장소에서 24시간 도서를 대출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를 가리킨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신설한 온라인서비스 관련 지표에서 지난해 770개관이 1만 8096회의 온라인 프로그램을 운영했고, 모두 440만여명이 참여한 것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팬데믹은 개인의 독서 경향에도 영향을 미쳤다. 민간연구소인 책과사회연구소가 이날 발표한 ‘코로나19와 읽기 생활 변화’ 조사에 따르면 10대 이상 국민 10명 중 7명(71.2%)이 코로나19 이후 읽는 시간이 늘었다고 답했다. 이 조사는 지난 8월 전국 10세 이상 국민 3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읽기 관련 활동 가운데 인터넷서점 이용이 증가했다는 응답 비율이 39.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유튜브 책 관련 영상 시청(37%), 인터넷 독서 정보 이용(34.0%), 오디오북 이용(21.4%), 전자도서관(17.7%) 이용 순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서점 매장 방문이 감소율 34.3%로 가장 높았고, 공공도서관 이용이 28.0%로 뒤를 이었다.

내용별로는 코로나19 이후 전염병·건강·의료정보 관련 읽기가 늘었다는 비율이 69.4%로 가장 높았다. 목적별로는 실용, 경제, 오락 순으로 증가 비율이 높았다.

선호하는 도서 분야(복수 응답)는 문학 도서가 62.4%에서 45.0%로 17.4% 포인트 줄었고, 실용서가 74.7%에서 90.1%로 15.4% 포인트 증가했다.

독서 선호도에 따라 증감률이 달라지는 ‘읽기 양극화’ 현상도 확인됐다. 독서 선호도가 높은 사람들은 ‘미뤄 두고 읽지 못했던 책을 읽게 됐다’(30.3%), ‘책 읽는 시간이 늘었다’(28.1%), ‘책에 집중하고 내용을 이해하는 능력이 높아졌다’(25.4%)고 답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독서 환경 조성에 필요한 요인을 100점 만점으로 환산해 보니 ‘나에게 알맞은 책 추천’이 59.8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책과 관련된 언론 기사 및 인터넷 정보(53.7점), 방송 프로그램(51.8점), 도서관·서점 등의 행사 안내(50.4점) 순이었다.

백원근 소장은 “코로나19로 독서에 대한 선호가 올라간 시점에 맞춰 눈높이에 맞는 책 정보 제공, 참여형 독서 프로그램 추진 등으로 전체 독서율을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1-09-28 23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