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9연패’ 여자 궁사들 금빛 명중… ‘멘털갑’ 양궁 막내들

‘9연패’ 여자 궁사들 금빛 명중… ‘멘털갑’ 양궁 막내들

홍지민 기자
홍지민, 류재민 기자
입력 2021-07-25 22:36
업데이트 2021-07-26 01: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양궁 女단체전 금메달… 올림픽 새 역사

양궁 女단체전 금메달… 올림픽 새 역사
文대통령 “압도적 실력… 기분 좋은 쾌거”
안산 2관왕… 17세 김제덕과 첫 혼성전 金
유도 안바울·펜싱 김정환·태권도 장준 銅

이미지 확대
도쿄올림픽 양궁 국가대표 안산(왼쪽), 강채영(가운데), 장민희가 25일 도쿄 유메노시마공원 양궁장에서 열린 여자 양궁 단체 결승전에서 크세니야 페로바, 옐레나 오시포바, 스페틀라나 곰보에바로 팀을 꾸린 러시아올림픽선수단(ROC)을 누르고 금메달을 확정지은 뒤 환호하고 있다. 이날 승리로 한국 여자 양궁은 올림픽에 양궁 단체전이 처음 도입된 1988년 서울 대회부터 이번 대회까지 ‘올림픽 9연패’라는 대기록을 썼다. 도쿄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도쿄올림픽 양궁 국가대표 안산(왼쪽), 강채영(가운데), 장민희가 25일 도쿄 유메노시마공원 양궁장에서 열린 여자 양궁 단체 결승전에서 크세니야 페로바, 옐레나 오시포바, 스페틀라나 곰보에바로 팀을 꾸린 러시아올림픽선수단(ROC)을 누르고 금메달을 확정지은 뒤 환호하고 있다. 이날 승리로 한국 여자 양궁은 올림픽에 양궁 단체전이 처음 도입된 1988년 서울 대회부터 이번 대회까지 ‘올림픽 9연패’라는 대기록을 썼다.
도쿄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대한민국의 여자 궁사들이 금빛 화살을 명중시키고 ‘올림픽 여자단체 9연패’라는 올림픽 역사를 썼다.

안산(20)과 강채영(25), 장민희(22)가 출전한 한국 여자팀은 25일 도쿄 유메노시마공원 양궁장에서 열린 여자양궁 단체 결승전에서 크세니야 페로바, 옐레나 오시포바, 스페틀라나 곰보에바로 구성된 러시아올림픽선수단(ROC)을 6-0(55-54 56-53 54-51)으로 꺾었다.

한국 양궁은 단체전이 처음 정식 종목으로 도입된 1988년 서울 대회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딴 뒤 이번 대회까지 9연속 정상을 차지하는 금자탑을 세웠다.

앞서 한국 양궁 대표팀은 24일 열린 혼성 단체전에 출전한 ‘막내 궁사’ 김제덕(17)과 안산이 네덜란드를 상대로 첫 세트를 내줬지만 역전에 성공하면서 양궁 혼성 단체전 초대 챔피언 자리에 올라 한국선수단에 첫 금메달을 선사했다. 단체전 금메달을 따낸 안산은 참가국 전체를 통틀어 대회 첫 2관왕에도 올랐다. 안산은 개인전에도 출전해 사상 첫 양궁 3관왕에 도전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여자양궁 대표팀이 올림픽 9연패를 달성하자 SNS에 “한국 양궁 정말 잘한다. 바람이 많이 부는 가운데서도 압도적인 실력을 보여 줬다”며 “기분 좋은 쾌거”라고 축하했다.

한국 유도의 자존심 안바울(27)은 이날 남자 유도 66㎏급 동메달 결정전에서 세계랭킹 1위 이탈리아의 마누엘 롬바르도를 경기 시작 2분 18초 만에 업어치기 한판으로 이겨 동메달을 땄다.

앞서 태권도 남자 58㎏급 세계랭킹 1위 장준(21)은 24일 열린 동메달 결정전에서 헝가리의 오마르 살림을 30점 차이로 완파해 메달을 획득했다. 펜싱 남자 대표팀 맏형 김정환(38)도 동메달을 따 한국 펜싱 사상 최초로 올림픽 3연속 메달 획득에 성공했다.

그렇지만 그 밖의 종목에서는 강력한 우승 후보가 줄줄이 메달 사냥에 실패했다. 태권도 남자 68㎏급 이대훈(29)은 25일 열린 16강전에서 연장 승부 끝에 패했고, 여자 태권도 57㎏급 이아름(29)도 탈락해 태권도는 이틀 연속 노골드를 기록했다.
도쿄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2021-07-26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