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뉴스 깊이 보기] 환율 떨어져도 수출기업들 ‘차분’ 왜

[경제 뉴스 깊이 보기] 환율 떨어져도 수출기업들 ‘차분’ 왜

장세훈 기자
입력 2018-04-03 22:42
수정 2018-04-04 00: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한국경제 환율 지상주의 완화

환율 움직임이 심상찮다. 지난해 평균 1130원선이던 원·달러 환율은 3일 1054.2원에 거래를 마쳤다. 3년 5개월 만에 최저였던 전날 종가를 또 경신한 것이다. 원화 가치 상승(환율 하락)은 국내외 상황을 감안할 때 피할 수 없는 ‘외길’에 가깝다. 수출(74개월 연속 무역 흑자)이 잘나가고 우리를 괴롭혀 온 북한 리스크마저 줄었기 때문이다.
한·미 ‘환율 합의’도 환율 하락을 부추기는 요인이다. 과거에는 수출 실적을 끌어올리기 위해 인위적으로 고환율 정책을 폈던 것도 사실이다. 우리 정부는 수출 경쟁력을 유지하는 ‘적정 환율’로 봤지만 미국은 무역 불균형을 조장하는 ‘환율 조작’의 시각으로 다루고 있다.

그러나 수출 기업들의 반응은 예전과 달리 차분하다. 한국 경제의 체질이 바뀐 영향이다. 수출 기업들이 과거처럼 환율에 목을 매는 ‘환율 지상주의’는 완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환율이 1% 오를 때 수출 증가율을 의미하는 가격 탄력성이 1992년에는 0.41이었지만 2014년에는 0.30으로 감소했다. 지금은 더 떨어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평가다. ‘원화 강세→가격 경쟁력 하락→수출 부진’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가 약해졌다는 의미다.

문병기 무역협회 동향분석실 수석연구원은 3일 “기업의 브랜드 파워, 제품 성능, 고객 충성도 등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반도체와 석유제품 등 수출 주력 품목의 가격은 환율과 상관없이 국제시장 수급에 의해 결정된다”고 설명했다.

국내 기업들이 해외 생산을 늘린 것도 원·달러 환율의 직접적인 영향을 덜 받게 만드는 요인이다. 전국경제인연합에 따르면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10년 동안 국내 기업들의 해외 직접투자 규모는 3010억 달러(약 310조원)에 이른다. 생산기지 이전에 따라 내수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수출 경쟁력은 오히려 높아진 것이다.

전문가들은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최대 변수로는 환율·유가보다는 ‘세계 경기’를 꼽는다. 지난해 말부터 원화 강세 흐름이 이어지고 있음에도 우리나라 수출이 지난달까지 17개월 연속 증가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에 따라 환율 가격보다는 환율 급감·급등 등의 ‘상황 관리’에 좀더 신경을 써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창선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다른 통화와 달리 원화 가치만 상승한다면 기업 채산성과 수출 경쟁력이 악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문 수석연구원은 “환율 변동에 취약한 중소기업에 대한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8-04-04 2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