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프로야구 관련사업 매출도 최대

지난해 프로야구 관련사업 매출도 최대

입력 2013-01-10 00:00
업데이트 2013-01-10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계권·스폰서십 등 350억원

지난해 프로야구 매출이 사상 최고액을 기록했다.

한국야구위원회(KBO)의 마케팅 자회사인 KBOP는 9일 700만 관중 시대를 연 2012년 프로야구가 관련 사업으로 벌어들인 금액이 350억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1년 전 340억원에서 10억원 늘어난 것이다. 프로야구가 2년 연속 매출 300억원을 돌파하며 성장을 이어간 것.

KBOP 매출은 중계권료와 스폰서십 계약, 온라인 게임·상품 판매 등 세 항목으로 나뉜다. 이 가운데 중계권료가 가장 많은 250억원을 차지했고 스폰서십 계약금이 80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스폰서십 계약 중 가장 큰 몫은 식품업체 팔도와 맺은 타이틀 스폰서 금액 55억원이다. KBO는 올해도 팔도와 계약 연장을 추진하고 있다.

KBO는 수입 가운데 여러 경비를 빼고 8개 구단에 팀당 38억원씩 나눠 줬다. 9구단 NC는 1군 리그에 참여하지 않아 제외됐다. 1년 회비로 17억~18억원을 KBO에 낸 8개 구단은 수익금 20억원을 얹어 돌려받은 셈이다.

KBOP는 10일 평가위원회를 거쳐 선정되는 10구단이 1군에 진입하는 2015년 중계권료가 치솟을 것으로 기대했다. 지상파 방송 3사, 케이블 채널과 맺은 중계권 계약은 내년 말 끝나는데 야구계에선 현재 성장세가 지속되면 중계권료가 400억원대까지 급등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KBOP 수입과 별개인 지난해 프로야구 입장료 수입도 633억 5612만원이 돼 처음으로 600억원대를 넘었다.

김민수 선임기자 kimms@seoul.co.kr

2013-01-10 2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