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형 수능 도입에 재수생 20% 줄었다

선택형 수능 도입에 재수생 20% 줄었다

입력 2013-01-28 00:00
업데이트 2013-01-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재수반 등록생 작년보다 급감

난이도에 따른 A·B형 선택형 수능 도입과 수시전형 확대 등으로 재수 기피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바뀐 입시제도에 맞춰 공부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커진 데다 ‘쉬운 수능’ 기조가 유지되면서 재수를 해도 큰 폭의 성적 상승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인식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27일 대입 전문 학원가에 따르면 다음 달 중순 개강을 앞둔 입시학원 재수종합반에 등록한 수험생이 지난해보다 10~20% 감소했다.

서울의 강남의 한 대입학원 관계자는 “대형학원 서너 곳을 제외하면 나머지 학원들은 재수종합반 정원을 모두 채우지 못한 경우가 대다수”라면서 “지난해까지 한 반 정원 35명씩 8개 반을 운영했는데 올해는 6개 반으로 줄였다”고 말했다.

소수정예 기숙학원으로 유명한 경기도의 한 입시학원도 15명 정원의 자연계 재수종합반 3개 반 가운데 1개 반은 정원의 반도 채우지 못한 상태다.

재수생 감소 현상은 지난해부터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집계한 재수 이상의 졸업생 수능 응시자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해 11월 치러진 2013학년도 수능에서는 14만 2056명으로 2012학년도의 졸업생 응시자 수인 15만 1887명에 비해 1만명 가까이 줄었다.

2012학년도 이전까지 졸업생 응시자 수는 2009학년도 12만 7586명, 2010학년도 13만 655명, 2011학년도 15만 4661명으로 해마다 증가해 왔다.

재수생 감소 현상은 선택형 수능 도입과 수시전형 확대, 쉬운 수능 기조 등 달라진 입시제도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경기침체가 장기화하면서 학원비와 교재비, 독서실비 등 만만찮은 재수생활 비용이 부담된다는 수험생들도 늘어나고 있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한 입시학원 상담실장은 “불과 몇년 전까지만 해도 강남권에서 상위권 대학을 가기 위해 ‘재수는 필수, 삼수는 선택’이라는 말이 유행할 정도였는데 최근 들어 대입전형이 다양화되면서 수능을 다시 봐서 원하는 대학을 갈 수 있다는 기대감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분석했다.

윤샘이나 기자 sam@seoul.co.kr

2013-01-28 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