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록 따뜻하고 달달한 ‘키다리 아저씨’를 보았나

이토록 따뜻하고 달달한 ‘키다리 아저씨’를 보았나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4-02-23 22:49
업데이트 2024-02-23 22: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엠피앤컴퍼니 제공
엠피앤컴퍼니 제공
누구나 있으면 좋겠지만 누구나 다 가진 건 아닌 존재가 있다. 바로 키다리 아저씨다. 꿈을 펼칠 수 있게 뒤에서 묵묵히 도와주는 후원자를 뜻하는 키다리 아저씨는 우리 사회에서 선행의 대명사로 꼽힌다.

마냥 착하기만 할 것 같은 키다리 아저씨는 실제로 어떤 인물일까. 이 단어는 1912년 발표한 진 웹스터(1876~1916)가 쓴 소설 ‘키다리 아저씨’(영어로는 ‘Daddy-Long-Legs’)를 통해 널리 쓰이게 됐는데 흔히 우리가 가진 키다리 아저씨의 이미지, 어른스럽고 아무런 대가 없이 후원자를 도와주는 모습과는 조금 거리가 있다. 뮤지컬 ‘키다리 아저씨’는 인물의 매력을 제대로 살리면서 원작의 재미를 제대로 느낄 수 있다.

‘키다리 아저씨’는 뮤지컬 ‘레미제라블’로 토니어워즈 최고 연출상을 받은 존 캐어드의 섬세한 연출과 작곡가 폴 고든의 서정적인 음악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2009년 캘리포니아에서 초연했고 한국에서는 2016년 초연부터 꾸준히 사랑받으며 이번에 4년 만에 다섯 번째 시즌을 맞았다.

뮤지컬 ‘키다리 아저씨’는 후원자인 제르비스 펜들턴, 후원받는 제루샤 주디 애봇의 2인극으로 펼쳐진다. 일반적으로는 보이지 않는 후원자의 대명사인 키다리 아저씨(제르비스)가 무대에 등장하는 것부터 관객들에게 색다른 재미를 준다.
이미지 확대
엠피앤컴퍼니 제공
엠피앤컴퍼니 제공
미국 뉴잉글랜드의 존 그리원에서 자란 제루샤에게 어느날 후원자가 등장한다. 후원자는 절대 자신을 알지 말라고 당부하며 제루샤에게 매달 편지를 쓰라고 주문한다. 후원자의 정체를 알 수 없는 제루샤는 그에게 키다리 아저씨라는 별명을 붙여 매달 편지를 보낸다.

제루샤가 대학생활을 하며 조금씩 어른으로 성장하는 동안 전하는 이야기에 제르비스도 그만 빠져들게 된다. 제루샤를 보고 싶은 감정을 참지 못한 제르비스는 신분을 속이고 등장하면서 두 사람의 아기자기하고 알콩달콩한 이야기가 전개된다.

두 사람의 밀당 관계가 무척이나 사랑스러운 나머지 관객들의 마음도 함께 달달해진다. 이렇게 따뜻하고 유쾌한 이야기를 이렇게 사랑스러운 뮤지컬로 만날 수 있다는 건 관객들에게도 행운이다. 책에는 없는 감미로운 음악과 책으로는 미처 표현할 수 없는 세밀하고 능청스러운 감정 연기를 배우들이 잘 살려내는 데다 끝까지 긴장감 있게 밀고 당기는 두 사람의 이야기에 관객들은 절로 미소 짓게 된다.
이미지 확대
엠피앤컴퍼니 제공
엠피앤컴퍼니 제공
25일 이번 시즌 공연을 마치는 ‘키다리 아저씨’의 출연진도 작별을 앞두고 인사를 전했다. 제루샤 역의 김려원은 “사랑이 가득 담긴 제루샤를 만나 연기하고, 그녀를 통해 행복에 관한 이야기를 전해드릴 수 있었다는 것은 정말 큰 축복”이라고 말했다. 4년 만에 다시 제루샤를 맡은 유주혜는 “제루샤와 함께 울고 웃으면서 저도 마음이 단단해졌다. 관객 여러분들께도 행복과 용기가 전해졌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장민제 또한 “제루샤를 통해, 극을 통해 많이 배우고 성장하는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제르비스 역의 김종구는 “관객분들의 사랑으로 무사히 마무리할 수 있었다. 헤어지려니 가슴이 먹먹하지만 지금 이 순간이 참 행복하다”고 말했다. 김경수는 “감사한 모든 관객 여러분 행복하세요”라고 애정 가득한 인사를 남겼다. 테이는 “행복이란 다 지나간 일 때문에 울지 않는 것”이라며 다시 만날 날을 기대했다.

마지막 공연을 앞둔 ‘키다리 아저씨’는 서울 종로구 링크아트센터드림에서 볼 수 있다. 24일과 25일에 진행되는 배우들의 마지막 공연의 커튼콜에서는 무대인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류재민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