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이란 무엇입니까? 작가들, 관객에게 묻다

예술이란 무엇입니까? 작가들, 관객에게 묻다

입력 2012-09-01 00:00
업데이트 2012-09-0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의 작가상 2012’展

아마 숱한 예술 장르 가운데 예술 스스로 가치를 끊임없이 되묻고 대답하는 것은 미술 쪽이 독보적인 것 같다. 그게 한계에 다다랐다는 표지일는지, 아니면 한계에 도전하는 재미있는 모험일는지에 대해서는 개개인의 판단이 다르겠지만. 11월 11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본관에서 열리는 ‘올해의 작가상 2012’ 전시는 김홍석, 문경원·전준호(공동 작업), 이수경, 임민욱 등 4개 팀의 작품을 선보인다. 이들의 공통점은 하나같이 매체를 통해 재현되는 행위가 아름답다는 게 무슨 의미냐고 되묻는다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김홍석 작가의 ‘사람 객관적-나쁜 해석’ 가운데 ‘노동의 방’.
김홍석 작가의 ‘사람 객관적-나쁜 해석’ 가운데 ‘노동의 방’.


임민욱 작가는 아예 방송사의 뉴스룸을 본떠 현실과 미디어가 재생한 현실을 비교하는 ‘절반의 가능성’을 내놨다. 문경원·전준호 작가의 ‘공동의 진술-두 개의 시선’은 예술의 의미를 스스로 찾아가는 과정에 대한 얘기다. 이수경 작가는 깨진 도자기를 어지럽게 늘어놓은 대형 설치 작품을 통해 완전한 도자기가 흙의 입장에서는 가장 피로도가 높은 게 아니냐는 질문을 던진다.

가장 발랄하고 도발적인 작품은 김홍석 작가의 ‘사람 객관적-나쁜 해석’이다. 차례차례로 들어가는 노동의 방, 태도의 방, 은유의 방이 나란히 있는데 방에 들어서면 해설자가 작품을 설명한다. 다음 방으로, 그다음 방으로 이동해도 똑같다. 방마다 설치된 작품이 그다지 차이가 없다. 이 작품에서 포인트는 각 방과 작품이 아니라 작가의 말, 해설자의 말, 그 말을 들은 관람객이 주변 사람에게 하는 말 그 자체다. 그러니까 미술 작품을 미술 작품이게 하는 요소가 대체 무엇이냐고 되묻는 것이다.

이 4개 팀은 1차로 선발된 팀이다. 전시 중 최종적으로 한 작가가 올해의 작가로 선정된다. 최종 선정된 작가에게는 국립현대미술관의 국제기획전에 우선적으로 참여할 기회를 주는 등 해외에 널리 알리는 작업이 병행된다. 5000원. (02)2188-6000.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2-09-01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