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철·구리 등 추정가치 GDP 83배

리튬·철·구리 등 추정가치 GDP 83배

입력 2012-01-16 00:00
업데이트 2012-01-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광물자원 매장 실태는

철광석·구리·코발트·금, 전기차 배터리·LCD·신재생에너지에 필수적으로 쓰이는 희토류, 리튬·크롬 등 희귀금속…. 아프가니스탄에 막대한 규모로 매장돼 있는 주요 광물 자원들이다.

미국 국방부는 최근 아프간 주요 광물자원의 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무려 1조 달러(약 1150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산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1조 달러는 아프간의 국내총생산(GDP·120억 달러)의 약 83배에 달하는 규모이다. 아프간의 주요 광물은 리튬 이외에 철(약 4209억 달러)·구리(2740억 달러)·니오브(초전도체의 소재로 사용되는 희귀 금속·812억 달러)·코발트(508억 달러)·금(250억 달러)·몰리브덴(239억달러)·희토류(74억 달러) 등이다. 특히 리튬 매장량은 아프간 중서부 가즈니주의 소금 호수 한 곳이 세계 최대 규모인 볼리비아 전체(세계 리튬의 50% 매장)와 맞먹는 수준이라고 미 국방부 관계자는 전했다.

이에 대해 아프간 정부는 광물자원의 매장량 가치가 미국 정부의 추정치보다 훨씬 많은 3조 달러(약 3450조원)에 이른다고 주장했다. 아히둘라 샤라니 아프간 광산부 장관은 “1조 달러는 아주 보수적인 계산”이라며 “우리 정부의 추정에 따르면 3조 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추정치의 근거와 관련, “가시적인 자원량만 계산했다.”고 강조했다.

미국 국방부는 미 지질학 연구팀과 국방부 관리들이 지난 2004년부터 옛 소련이 1980년대 아프간 점령 시절 작성한 도표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항공기와 지하 광물 3차원 입체 판독기를 동원해 아프간 전역에 매장된 광물 자원을 샅샅이 조사해왔다.

아프간 지질학자들은 소련군이 물러간 뒤 혼란 속에서 광물 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관련 자료를 숨겼다가 2001년 탈레반 정권 붕괴 이후 다시 세상에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2-01-16 1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