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태주의 풀꽃 편지] 마음의 쓰레기통

[나태주의 풀꽃 편지] 마음의 쓰레기통

입력 2024-05-20 03:54
업데이트 2024-05-20 03: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육신보다 마음이 고달픈 우리들
경쟁과 비교가 절망과 불안 낳아
10월 재개관하는 풀꽃문학관에
마음속 힘겨운 쓰레기 내려놓길

가끔 문학관에 머무는 날 방문객들을 만나면 묻곤 한다. 어디서 왔냐고, 왜 왔느냐고. 대답은 한결같이 멀리서 왔다고, 고달파서 왔다고 그런다. 멀리서 온 것은 알겠는데 고달파서 왔다는 말엔 쉽게 수긍이 가지 않는다.

생각해 보면 그 고달픔은 육신이 아니라 마음의 고달픔이다. 예전 사람들은 육신의 고달픔이 문제였다. 그래서 육신의 휴식이 필요했다. 하지만 요즘 사람들은 마음이 고달프고 마음이 피로한 것이다. 그래서 마음의 휴식이 필요한 것이다.

사람이 편안히 살아가는데 방해되는 것들이 마음에 많이 쌓인다. 우선은 근심과 걱정, 우울과 짜증, 불안과 상실, 끝내는 절망과 불행감. 모두가 현대 사회의 지나친 경쟁과 비교와 넘치는 소유와 소비가 만들어 낸 부산물들이다. 우리의 삶에 불필요한 것들, 마음의 쓰레기들이다.

그런데 그것이 산같이 많으니 어쩌면 좋으랴. 그래서 사람들은 그것들을 어딘가 버릴 곳을 찾는다. 마음의 쓰레기통이다. 그 마음의 쓰레기통을 찾아서 원근 각지의 사람들이 기를 쓰고 우리 풀꽃문학관을 찾아온다 생각한다면 그것은 자만이고 오해일까.

나는 우리 풀꽃문학관이 세상 사람들의 마음의 쓰레기통이 되길 소망한다. 버릴 것이 있다면 망설이지 말고 여기에 버려 주십시오. 쓰레기통은 얼마든지 넓고 많으며 여유가 있답니다. 우리 풀꽃문학관의 쓰레기통은 아무리 많은 쓰레기를 버려도 넘치지 않는 답니다. 그것은 마음의 쓰레기통이기 때문입니다.

요즘 우리 풀꽃문학관은 새 건물 공사가 한창이다. 다가오는 10월이면 번듯한 건물로 문학관이 새롭게 문을 열 것이다. 현재의 풀꽃문학관 뒤편 봉황산 기슭의 땅을 파고 다듬어 짓는 건물이다. 건평 300평 규모의 건물. 생각만 해도 가슴이 벅차오른다. 현재의 문학관을 연 지 10년 만의 일이다. 여기에도 여지없이 10년의 법칙이 해당하는 것이다.

나는 새로운 문학관 개관을 대비해 국내 여러 곳의 문학관들을 두루 돌아보았다. 외국, 특히 일본의 문학관도 여러 군데 보았다. 지금까지 내가 보아 온 대개의 문학관은 어떤 개인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는 박물관, 기념관 성격이 강했다. 하지만 나는 그런 문학관의 시대는 지나갔다고 본다.

오히려 앞으로의 문학관은 활용과 체험 쪽으로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관광객이든 시민이든 방문하는 사람들이 직접 참여하여 활동하는 공간과 시설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진행되는 프로그램 또한 그런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본다. 그러지 않으면 문학관은 더이상 존재 가치가 없다.

약속대로 10월이면 정말로 새로운 풀꽃문학관 건물이 봉황산 기슭에 그 모습을 나타낼 것이다. 다시 한번 꿈같은 일이다. 어쩌면 이런 일이 있을 수 있었던가. 무에서 유의 생산이란 말이 있는데 그야말로 이것은 무에서 유가 생산된 경우다. 기적과 같은 일이다.

이 모두가 내가 쉬지 않고 시를 쓴 덕택이고, 공주를 사랑하며 산 까닭이다. 직접적인 이유라면 내가 공주문화원장으로 8년 동안 일하며 산 까닭이다. 내 어려서부터의 소원 세 가지 가운데 하나가 공주 사람으로 사는 것이었는데 그 소원을 이루기 위해 공주문화원장으로 일하면서 공주의 문화와 자연과 사람을 극진히 받들며 살았던 것이다.

앞으로 새로 생기는 풀꽃문학관은 더욱더 크고도 편안하고 아름다운 마음의 쓰레기통이 되기를 소망한다. 전국 곳곳에서 방문객들이 찾아와 마음속 힘겨운 쓰레기들을 고스란히 쏟아놓고 가는 쓰레기통이 되기를 소망한다. 그렇다 해도 우리 문학관은 하나도 더러워지지 않고 어지러워지지도 않을 것이다. 더욱 예쁜 꽃들이 피어 아름답고 푸른 풀들이 예쁘게 자라는 공간으로 남아 있을 것이다.

나태주 시인

이미지 확대
나태주 시인
나태주 시인
2024-05-20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